[유럽] 바이오유래 플라스틱, 미래 순환 플라스틱 경제의 핵심적 역할 > 친환경기사

본문 바로가기


친환경기사

  • HOME >
  • 친환경기사 >
  • 친환경기사

[유럽] 바이오유래 플라스틱, 미래 순환 플라스틱 경제의 핵심적 역할

페이지 정보

본문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과 엘렌 맥아더 재단(Ellen MacArthur Foundation)이 최근 발표한 보고서 “새로운 플라스틱 경제: 플라스틱의 미래를 다시 생각하기(‘The New Plastics Economy: Rethinking the future of plastics’)에서는 경제가 화석 연료에서 벗어나고 토양을 보호하는데 있어 바이오플라스틱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세계 순환 플라스틱 경제에 대해 다루고 있다. 보고서는 바이오플라스틱 순환 경제를 순환경제의 원칙과 일치시키고, 어떻게 하면 플라스틱이 쓰레기가 되지 않고 가치 있는 기술 및 생물학적 자원으로서 경제로 다시 되돌아 갈 수 있는지에 대해 단계들을 제시하고 있다.




유럽바이오플라스틱협회(European Bioplastics; EuBp)의 관리 이사 Hasso von Pogrell는 “이 보고서는 바이오플라스틱이 바이오유래 원료로 화석원료를 대체함으로써 플라스틱 포장재에 많은 장점을 개발하는 한편, 얼마나 더 나은 경제와 환경을 가져다 줄 수 있는지를 명확하게 보여주고 있다.”라고 평했다. 보고서는 재생가능 자원에서 얻어진 원료가 플라스틱 생산과 한정된 화석원료라는 연결고리를 끊는데 도움이 되며, 플라스틱 포장재의 온실가스 탄소발자국을 줄이는 데 기여하고 전체 생애주기에서 탄소 저장고로서의 역할을 해줄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EuBp는 미래의 순환 플라스틱 경제에 있어서 바이오유래 플라스틱의 장점 10+1을 아래와 같이 정의했다.
1. 바이오유래 플라스틱은 환경, 사회, 경제적으로 커다란 잠재력을 가지며 역동적인 성장율을 보이는 혁신 산업이다.
2. 바이오유래 플라스틱은 EU 2020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3. 바이오유래 플라스틱은 유럽이 한정된 화석연료에의 의존도를 줄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4. 바이오유래 플라스틱은 유럽이 단선형경제(linear economy)에서 순환경제로 옮겨갈 수 있게해준다.
5. 바이오유래 플라스틱은 다양한 종류의 바이오유래 원료에서 만들어 질 수 있다.
6. 재생가능 원료의 지속가능한 수급과 좋은 농업 활동은 바이오유래 플라스틱이 성공하기 위한 핵심 요소이다.
7. 바이오유래 플라스틱은 식품 및 사료 생산과 경쟁하지 않는다.
8. 바이오유래 플라스틱은 기존의 사용 후 옵션에도 적합하다.
9. 바이오유래 플라스틱은 보다 개선된 물성과 성능을 제공한다.
10. 소비자들은 바이오유래 플라스틱을 원한다.
+ 1) 일관성 있고 믿을 만한 표준(standard)과 라벨은 바이오유래 플라스틱을 쉽게 구별할 수 있게 해준다.

최근, 바이오플라스틱은 연간 전체 플라스틱 생산량 3억 톤 중 1%를 차지한다. 하지만, 수요가 증가하고 보다 개선된 소재, 응용 분야, 제품 들이 나타나고 있어서, 시장은 매년 20~100% 정도로 성장하고 있다. EuBp가 발표한 최근 데이터에 따르면, 세계 바이오플라스틱 생산 능력은 2014년 기준 170만톤에서 중기적으로 네 배 정도 성장해 2019년에는 780만 톤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 데이터는 단순히 환경적 영향을 줄이며 지속가능한 미래로 옮겨가는데 이 산업이 기여하는 것만을 보여주는 것은 아니다. 전망에서는 향후 십 여 년간 엄청난 규모의 경제적 잠재력을 실현시켜 줄 바이오플라스틱 산업이 싹틀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좋은 정책 프레임을 통해, 유럽의 바이오플라스틱 생산 능력은 2025년까지 연간 570만 톤까지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유럽 플라스틱 생산량의 10%에 해당하는 것으로 유럽 바이오플라스틱 분야에서 16만개의 숙련된 일자리를 만들어 내는 것을 뜻한다. Pogrell은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잠재성을 실현시키기 위해서, 현재의 순환 경제 제안(Circular Economy Proposal)은 바이오유래 소재의 장점을 인식하고 바이오경제와 순환 경제 사이의 연결을 더욱 강력하게 할 필요가 있다”라고 결론 지었다.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요약: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www.biosafety.or.kr)
출처 :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KBCH)『바이오화학산업동향(TWB)』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그누보드5

회사명 : 에코한성 / 대표 : 한재희
주소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가좌로 60 풍하빌딩 2층
사업자 등록번호 : 110-81-97403
대표번호 : 02-376-2011

Copyright © ECOHANSUNG. All rights reserved.
싱가포르그린라벨 친환경인증 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