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분해 플라스틱. 자료사진
생분해 플라스틱. 자료사진
‘썩는 플라스틱’으로 알려진 생분해성 수지가 기존 플라스틱의 대체재로 떠오르면서, 기업들이 앞다퉈 이를 이용한 ‘친환경’ 제품을 내놓고 있다. 그러나 도입 취지와 달리 일반쓰레기처럼 소각되거나 썩는 조건을 갖추지 못한 상태에서 매립되는 게 태반이라는 분석이 나왔다.생분해 플라스틱은 고온의 땅에 매립되면 미생물에 의해 수개월에서 수년 내에 완전히 분해되는 재료로 만들어진다. 옥수수 전분을 이용한 폴리락타이드(PLA)가 대표적이다. 이런 성질 때문에 생분해 플라스틱을 기존 플라스틱의 대체 포장재로 쓰려는 기업이 느는 추세다.지난달 8일 비지에프(BGF)리테일은 오는 4월부터 씨유(CU) 편의점 전체 매장에서 비닐봉지 대신 폴리락타이드 소재의 친환경 포장재를 사용하겠다고 밝혔다. 친환경 봉투 판매가는 100원으로, 일반 비닐봉지가 20원인 것과 비교하면 5배 비싸다. 롯데마트의 자체 브랜드인 스윗허그, 배달의민족의 식자재 및 배달 비품 쇼핑몰 ‘배민상회’도 생분해성 수지를 이용한 제품을 출시한 바 있다.버려진 생분해 플라스틱은 정말 땅에 묻혀 퇴비가 될까. 지난 23일 발간된 녹색연합의 보고서 ‘생분해 플라스틱의 오해와 진실’을 보면, 생분해 플라스틱의 실상은 친환경 이미지와는 거리가 있다. 국내 생분해 플라스틱 제품의 처리 지침은 일반쓰레기와 동일하게 종량제 봉투에 넣어버리는 것인데, 이렇게 버려지는 생활 폐기물의 절반 이상은 소각된다. 2018년 종량제 배출 생활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을 보면, 1일 전체 배출량 2만5572톤 중 52.7%가 소각되고 28.9%가 매립된다. 재활용되는 건 18.4%에 불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