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분해 플라스틱"은 여전히 자연으로 돌아가지 못한다
페이지 정보
본문
녹색연합 '생분해 플라스틱의 오해와 진실' 보고서
생분해플라스틱도 종량제봉투에 생활폐기물로 버려져
절반이상 소각, 매립돼도 전문 퇴비화 시설 없어


매립되는 28.9%도 퇴비화 조건을 갖춘 땅이 아닌 일반 매립지에 묻힌다. 58±2도 상태에서 6개월 이내에 생분해되는 비율이 90%여야 생분해성 수지 제품으로 환경표지 인증을 받을 수 있는데, 국내엔 아직 이런 조건을 갖춘 전문 퇴비화 시설이 없다.
별도 시설을 갖출 만큼 사용되는 생분해 플라스틱의 양이 많지도 않다. 일반 매립지에 묻히는 경우 퇴비화되는 데 얼마나 걸리는지 국내에선 아직 확인된 바가 없다. 환경부 관계자는 “다른 조건에서도 분해가 가능한지에 대해선 설왕설래가 있다. 현재 생분해성을 확인하기 위해 산업부 주관으로 실증 작업을 하는데, 결과에 따라 생분해 플라스틱에 대한 관리 방식을 조정해갈 것”이라고 말했다.
생분해 플라스틱은 이렇게 일반쓰레기와 다름없이 처리되지만, 규제 대상에선 제외돼 있다. 자원재활용법 12조에선 재활용이 어렵고 폐기물 관리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제품의 제조업자·수입업자에게 폐기물 처리에 드는 비용을 부담하도록 하지만, 생분해성 제품은 예외로 둔다. 또 생분해성 제품은 재활용 의무 대상도 아니다. 환경표지인증기준에 따르면, 생분해성 수지는 ‘통상적으로 회수가 곤란한 제품’이나 ‘재활용을 위한 분리수거가 용이하지 않은 제품’에 적용하는 게 원칙인 탓이다.
전문가들은 처리 방식을 검토하지 않은 채 무작정 생분해 플라스틱을 활용하는 것은 ‘그린워싱’(위장 환경주의) 논란을 부를 수 있다고 지적한다. 보고서를 작성한 허승은 녹색연합 정책팀장은 “생분해 플라스틱은 분해돼서 자연으로 되돌아간다는 게 핵심인데, 지금은 안 돌아간다. 친환경적 처리가 이뤄질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하거나 친환경 인증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 근본 대안은 플라스틱 사용 자체를 줄이는 것”이라고 말했다.
홍수열 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 소장은 “폐기물 관리체계 내에서 처리되는 제품들은 주로 재활용하거나 소각하기 때문에 생분해 여부는 큰 의미가 없다. 순환 가능성과 소각 시 온실가스 배출 최소화가 더 중요하다. 특성에 맞는 처리 방식 없이 무조건 홍보만 하면 그린워싱이 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김민제 기자 [email protected]
기사원문은 아래 주소로 들어가면 읽으실수 있습니다
관련링크
- 다음글인도 공대 실험서 2만5천개 미세 플라스틱 검출.."종이컵 다 안 썩어“ 20.12.2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